목젖 이물감 느껴지는 이유가 뭘까요?

목젖 이물감으로 붎편해하는 모습

1. 목젖 이물감 질병의 신호일까?

목 안에 뭔가 걸린 것 같거나 침을 삼킬 때마다 거슬리는 느낌이 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부위는 바로 ‘목젖’인데요. 목젖 이물감은 대부분의 경우에는 특별한 이상 없이 나타나는 인두 이물감이고 그 외에 구조적 문제나 염증, 역류 등의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.

목젖 부위에서 느끼는 이물감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자주 발생합니다.

① 스트레스, 불안 등 심리적 요인
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목의 근육이 수축되며 이물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

② 위산역류 (역류성 식도염)
위산이 식도 위쪽, 심지어 인두까지 역류하면서 목젖 부위에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.

③ 만성 후비루 (콧물이 목 뒤로 넘어가는 현상)
코나 부비동에서 생성된 점액이 목 뒤로 넘어오면서 목젖 주위에 끈적임이나 자극을 줍니다

④ 편도염, 인두염
세균 또는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은 염증을 유발하고, 목젖 근처 조직이 붓고 통증을 일으키며 이물감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

⑤ 목젖 부종 또는 외상
칫솔질, 내시경 등의 자극으로 목젖이 부풀어 오르거나 상처가 나면 일시적인 이물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.

2. 목젖의 구조와 역할

목젖은 우리가 말하거나 삼킬 때 중요하게 작용합니다. 말할 때 비강과 구강을 분리해 소리가 코로 새지 않도록 돕고 음식이 코로 넘어가지 않게 막아주는 역할도 합니다. 또 침이나 음식물을 삼킬 때 기도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데도 도움을 줍니다.

목젖은 예민해서 조금만 부풀거나 건드려지면 실제로는 이물질이 없어도 거슬림이나 통증,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신경 말단이 많이 분포되어 있어 심리적인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합니다.

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목젖 부위가 부풀어 오를 수 있습니다.

① 감기, 독감 등으로 인한 염증 반응
② 과도한 코골이 또는 구강호흡
③ 과음 또는 흡연
④ 알레르기 반응

목젖에 문제가 생기면 작게는 이물감, 크게는 호흡 곤란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
3. 진단이 필요한 경우

일반적으로 목젖 이물감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지지만 동반되는 증상이 있다면 전문 진료가 필요합니다.

① 삼킬 때 통증이 동반됨
② 음식물을 삼키기 힘듦
③ 쉰 목소리, 기침, 목의 이물감이 지속됨
④ 목젖이나 인후의 눈에 띄는 부종
⑤ 체중 감소, 피로감 등 전신 증상 동반

위 증상이 동반된다면 이비인후과에서 후두경이나 내시경 검사를 통해 시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. 경우에 따라 위내시경, CT, 알레르기 검사 등이 병행될 수 있습니다.

4. 목젖 이물감 완화를 위한 생활 습관

① 수분 섭취
건조한 목은 더 민감해질 수 있으므로 하루 1.5~2L 이상의 수분 섭취가 필요합니다.
② 따뜻한 차 마시기
따뜻한 차 특히 꿀차는 점막을 진정시키고 이물감을 완화합니다.
③ 구강 청결 유지
입안의 세균이 목젖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1일 2회 이상 칫솔질과 가글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.
④ 위산 역류 예방
기름진 음식 피하고, 식후 바로 눕지 않으며, 저녁 식사는 최소 취침 4시간 전에 끝내는 것이 좋습니다.
⑤ 흡연과 음주 자제
이 두 가지는 인후 점막을 자극해 목젖에 부담을 줍니다.

이전글

배에서 소리나는 이유와 안나게 하는 방법